건강백과

예방접종도우미 mmr 예방접종 확인서 온라인 발급

낙엽지면 2025. 1. 2. 03:30
반응형

MMR 예방접종은 홍역, 볼거리, 풍진, 이렇게 3가지 질병을 예방하는 혼합 백신입니다. 각 질병의 영어 이름 첫 글자를 따서 MMR이라고 부릅니다. MMR 백신은 생백신으로,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우리 몸에 항체를 형성하게 합니다. 2회 접종을 통해 97% 이상의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MMR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포함되어 있어 무료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MMR 예방접종 무료접종 시기

MMR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포함되어 있어 무료로 접종 받을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MMR 무료 접종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 2차 접종: 만 4~6세

 

단,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접종 시기와 횟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생후 6~11개월 영아: 홍역 유행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경우, 의사와 상담 후 1회 접종 (가속 접종) 가능. 이 경우,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에 추가 접종 필요
  • 만 7~12세 아동: 과거 MMR 접종 기록이 없는 경우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 2005년생 이후 출생 성인: 면역의 증거(홍역 진단, 항체 양성, MMR 2회 접종력)가 없는 경우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적어도 1회)

참고:

  • MMR 백신은 2회 접종을 완료해야 충분한 면역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접종 시기가 지났더라도,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 방문하여 접종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https://nip.kdca.g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MR 예방접종 확인서

MMR 예방접종 확인서가 필요한 경우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입학 시 집단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홍역, 볼거리, 풍진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제출해야합니다. 특히, 취학 아동의 경우 교육부에서 예방접종증명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외 유학 또는 이민 등의 심사 과정에서 MMR 예방접종 확인서를 요구하는 국가도 있습니다. MMR 예방접종 확인서 발급 방법은 온라인(예방접종도우미, 정부24) 또는 오프라인(접종기관)을 통해 가능합니다. 😊

 

 

 

 

mmr 예방접종 확인서 온라인 발급

MMR 예방접종 확인서를 온라인으로 발급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이용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접속: https://nip.kdca.go.kr 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카카오톡, 네이버, PASS 등)으로 로그인합니다.
  •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 '증명서 발급' 메뉴에서 '예방접종증명서'를 선택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MMR 예방접종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정부24 이용

  • 정부24 사이트 접속: https://www.gov.kr 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 예방접종증명 검색: 검색창에 '예방접종증명'을 검색합니다.
  • 예방접종증명 신청: '예방접종증명 신청'을 클릭하고 안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MMR 예방접종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MMR 예방접종 기록이 조회되지 않는 경우, 접종받았던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 전산 등록을 요청해야 합니다.
  • 온라인 발급은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만 가능합니다.

혹시 온라인 발급에 어려움을 느끼시거나, 컴퓨터 사용이 불편하시다면 가까운 보건소나 접종했던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발급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

 

 

 

 

2025.01.01 - [라이프]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최대 60만원 확대(연 9.54% 적금 가입 효과)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최대 60만원 확대(연 9.54% 적금 가입 효과)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2023년 6월에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해주는데

miljib.tistory.com

 

2025.01.01 - [라이프] - 2025년 공무원 봉급표 및 인상률

 

2025년 공무원 봉급표 및 인상률

2025년 공무원 봉급은 평균 3.0% 인상됩니다. 2024년 2.5% 인상에 이어 0.5%p 상승한 수치이며, 2017년 이후 최대 인상폭이라고 합니다. 특히 9급 초임 공무원(1호봉)의 경우 봉급액이 올해보다 6.6% 올라

miljib.tistory.com

 

반응형